대한민국 대표 디지털 서명, USIGN
전자서명 특허 획득
유싸인은 유럽 eIDAS 규정 및 SAFE-BioPharma 표준, Usesign, FDA CFR PART 21 전자기록 및 전자서명에 대한 규정을 준수합니다.
국내외 전자서명법을 준수할 수 있는 AATL 인증서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ID를 사용하여 문서에 디지털 서명을 할 수 있게 합니다.
AATL 인증서는 인증기관(CA)과 신용서비스 제공 업체(TSP)의 유럽 eIDAS 규정 및 SAFE-BioPharma 표준과 같이,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법률 및 규정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데 사용되는 인증서 기반 디지털 ID 및 타임스탬프 서비스를 발행합니다.
타임스탬프(Timestamp : TSA)는 서명 검증 및 확인하는 기준점으로 사용됩니다. 공인된 TSA는 국제 표준 시각(RFC3161 규정 준수)을 표기하며, 서명 시 시스템 시간을 변경하더라도, 서명된 시각은 국제 표준 시간으로 표기됩니다.
유싸인 디지털 서명은 문서의 서명 시간에 대한 무결성을 DB의 저장된 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아닌 문서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유싸인은 종이 계약의 인감 기능을 하는 전자서명 key를 HSM 장비에 담아 보안성을 높였으며, 이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싸인에 연동된 HSM 장비는 국내외 금융, 카드사 등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보안성과 안정성을 입증받은 장비입니다. (CC 인증, FIPS-LEVEL 120-3)
"부인 방지"란 송수신 거래 사실을 사후에 증명 가능함으로써, 거래 사실을 부인 못하게 하는 공증(Notarization)과 같은 보안 기능입니다.
유싸인은 "거래 사실 부인방지" 확인을 위해 정보를 저장된 DB에서 확인하는것이 아닌 서명된 문서 자체에서 "서명자의 조직, 서명자의 이름, 서명 시간"을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DF 전자서명 후 문서의 편집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온라인의 수많은 PDF 편집기를 이용하여 문서를 수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습니다.
사인으로 서명된 문서는 Adobe 프로그램에서 수정 및 편집이 불가능하며, 외부 PDF 편집기를 이용하여 수정했을 경우, Adobe Viewer에서 정상 서명 여부에 대해 자동으로 유효성 검증을 하기 때문에 가시적으로 전자서명 무결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싸인으로 서명된 문서는 서명 시점의 인증서의 유효성과 서명 시각을 문서에 기록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 오프라인 상관없이 문서의 유효성을 자동으로 검증받을 수 있습니다.
LTV(Long Term Validation)란 서명 당시 인증서의 상태에 대한 기록을 제공합니다. 유싸인은 인증서 기반 서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인증서의 만료일이 존재하지만 LTV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인증서가 만료되더라도 서명 시점에 인증서가 유효했다면, 서명된 문서는 5년, 10년이 지나도 유효성을검증받을 수 있습니다.